현덕마음공부, DanyeSophia

[현덕마음공부] 연기법은 인본주의다

Buddhastudy 2023. 11. 13. 19:54

 

 

부처님이 깨달은 연기법은 인본주의의 발로다.

당시에는 숙명론과 우연론이 대세였고 거기에 인간이 설 자리가 없었다.

붓다는 원인과 결과 사이에 연을 넣어서 결과가 달라지는 것을 역설했다.

인간은 노력에 의하여 자신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인간이 자기 삶의 주체임을 선언한 것이다.//

 

 

오늘은 연기법이라고 하는, 부처님이 깨달은 연기법이라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인본주의다 라고 하는

제목으로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처님이 새벽별을 보고 깨달은 것이 무엇이냐 라고 했을 때

우리는 그것이 연기법이다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고 이 연기법에서

부처님 교설에 모든 것이 나왔는데

그러면 연기법은 무엇이냐라는 질문을 할 수밖에 없죠.

그래서 크게 세 가지 정도로 연기법을 살펴볼 겁니다.

 

 

첫 번째 연기법은

인과론에서 그 사이에 연을 집어넣은 것이죠.

그래서 인과가 아니라 인연과이렇게 이야기한 것이죠.

 

이전에는 원인이 결정되면 원인이 지어지면

결과는 결정된 것이다.

이렇게 결정론적으로 봤는데

 

인연과를 집어넣으면

이 연이라고 하는 무수한 인연들이 개입하기 때문에

결과가 많이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것이죠.

훨씬 유연하고 훨씬 가변적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붓다가 강조한 것은

이 끼어드는 인연, 이 연이

자연적이거나 본인이 의도하지 않은 것들도 많겠죠

많겠지만 붓다가 강조한 것은 본인이 의식적으로 노력한 거

내가 잘못했다.

그러면 벌을 받겠죠.

하지만 그 잘못의 과보라고 하는 결과는

내가 잘못을 깨닫고, 고치고, 그것을 위해서 많이 애를 쓰고 하면은

경감될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원인과 결과 사이에

인간이 할 수 있는 노력이라고 하는 것이 있고

그것이 인간이 자기의 삶을 좀 더 책임감 있게 대하게 한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고

 

그런 노력을 통해서 인간은

자신의 처지를 바꾸어 나갈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한 것이죠.

 

그래서 우리가 불교를 조금 염세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고

그때 당시에 인간 삶을 해석하는 논리는 두 개였는데

하나는 모든 것이 신의 뜻이다.

그러니까 숙명론이죠.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다라고 하는 것이죠.

 

두 번째는 뭡니까?

모든 것이 우연이다, 우연론이죠.

 

그러니까 이 숙명론과 우연론에 의하면

인간이 설 자리는 없는 겁니다.

인간은 그냥 그렇게 사는 것이죠.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없었는데

붓다가 아니다, 어느 정도는 자기 삶은 자신의 책임이다 라고 이야기하면서

인본주의를 재창했다.

이렇게 말할 수가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인간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라고 한 것이

첫 번째 연기법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겁니다.

 

두 번째는 연기법은

모든 것에 대한 theory,

Theory of everything 이렇게 얘기를 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우리의 인생, 우리의 몸, 우리의 마음, 사회적 현상, 물질

그 모든 것, 우리 눈앞에 드러나는 모든 것은

연기법을 기초로 한다라고 하는 것이죠.

 

그때 연기법이라고 하는 것은

조건에 따라서 생겨났다가 조건이 흩어지면 사멸한다 없어진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것이죠.

 

그래서 모든, 우리 인생, 현상, 물질이 다 그러는데

그러니까 어떤 현상이 생기고

그 현상이 내 마음에 들지 않을 때는

그 현상을 나무라거나, 그 현상을 불러온 사람을 원망하거나

기분부터 나빠할 일이 아니라는 겁니다.

 

관찰하라는 겁니다.

어떤 조건으로 이 현상이 유지되고 있었고

어떤 조건이 달라졌기 때문에 이 현상이 바뀌었는가를 관찰해서 알게 되면

흥분부터 하고, 화부터 나는 그런 마음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더 결정적으로는

남을 원망하는 마음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한 것이죠.

 

그래서 괴로움을 직접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그다음에 세 번째는 조금 형이상학적인 것인데

좀 더 이론적인 것인데

예를 들면

볼펜이라고 하는 것은

볼펜 아닌 것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죠.

낮이라고 하는 것은

밤이라고 하는 개념 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이죠.

부모는 자식, 그렇죠?

그런 식으로

 

또 그거를 표현하는 아주 정형적인 문구가 있죠.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면 저것도 없다

이렇게 이야기를 한 것이죠.

 

그래서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다고 하는 것은

욕망이 있으므로 괴로움이 있다

이렇게 된 것이고

 

그다음에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다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욕망이 없으면

욕망의 좌절로 인한 괴로움도 없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것이죠.

 

그러니까 모든 것은

동시에 서로에게 의지하고 있어서

플러스, 마이너스, 제로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떼놓을 수가 없다라고 하는 것이죠.

 

그러면 유추하면 이런 결론이 됩니다.

우리가 좋은 것을 추구한다고 하면

반드시 나쁜 것이 있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을 구분했잖아요.

그런데 사물은 이것과 저것이 동전의 양면처럼 붙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좋은 것을 생각하는 순간에

나쁜 것이라고 하는 개념을 이미 가지고 있다라고 하는 것이죠.

 

그래서 앞마당을 청소해서 가지런하게 해놓아보았자

그 쓰레기는 뒷마당에서 쌓인다

이렇게 얘기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래서 엔트로피 법칙처럼

우리 삶에서 질서를 잡고 뭔가 좋아지려고 하는 모든 노력이

어떻게 보면 뒷마당에 쓰레기를 쌓고 있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결론은 뭐냐면

욕망의 즐거움을 추구한다면

좌절로 인한 괴로움이 반드시 따라오게 마련이다.

이렇게 얘기를 하는 것이죠.

 

또 다르게 이야기하면

욕망과 괴로움이 분리될 수는 없다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괴롭고 싶지 않다면

욕망하지 말아라 라고 하는 것이죠.

 

 

젊은이들을

또 이렇게 노력과 성취를 중요하게 어떻게 보면 권한은 이런 현대 사회에서는

정말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뭔가 열심히 노력해서 성공하면 행복해질 것 같은

그런 논리가 횡행하는 21세기에는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은 것이지만

생각해 보면 그게 이치에 맞죠.

 

그래서 만약에 괴롭지 않고 싶으면

욕망하지 말아라

이것입니다.

 

그런데 한편으로 욕망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괴로움을 없앨 수 없을까라고 하는 것은

매직을 원하는 거고

그건 환상이고 마법 같은 것이죠.

그건 굉장히 유아적인 발상이라는 겁니다.

 

그러면 연기법의 결론은 뭐냐 하면

모든 것은 조건부로 조건이 갖추어지면 생겨났다가 유지되었다가

조건이 흩어지면 소멸한다 라고 하는 것은

거기서 도출할 수 있는 몇 가지 결론들이 있는데

첫 번째가 무상하다는 것이죠.

 

이 무상하다는 것은

허망하다거나 덧없다, 이런 말도 되지만

이때 무상하다는 것은

모든 것은 조건에 따라서 변화하기 마련이다

이렇게 변화를 얘기하는 것이죠.

 

그래서 고정된 것은 또 없다라고 하는 것이 무아잖아요.

무아라고 하는 것은 정체성 같은 것이거든요.

늘 그러한 것, 고정된 정체성은 없다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것이죠.

 

그리고 세 번째는

항상 내가 생각하는 것과 현실은 다를 수 있다.

내 생각하는 것과 현실이 너무 크게 다르면

그건 그 자체로 고통스러운 일이 될 수 있죠.

 

이 세 가지가 무상, 무아, 고라고 하는

연기법에서 도출되는 논리적 귀결입니다.

 

그리고 이 무상, , 무아를 정확하게 이해하면

사람은 헛된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렇게 되는 것이죠.

 

왜냐하면 그런 거는 원래 없는 거기 때문에

영원한 것은 없고

늘 그러한 것은 없고

내 생각과 꼭 맞아떨어지는 것은 원래 없다라고 하는 것을 알게 되면

헛된 욕망을 품지 않음으로 해서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것이죠.

 

근데 사람들은 무상하다라고 하는 것에서는

변화하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고

또 변화하는 정체성의 스트레스를 받고

내 생각과 같지 않은 현실에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건 뭡니까?

 

영원하기를 바라고

내가 영원히 지속되기를 바라고

그다음에 내 생각과 같기를 바란다는 거 아닙니까?

 

이거를 불교에서는

틀린 생각

즉 전도된 몽상, 전도몽상이라고 하는 것이고

이것이 괴로움의 뿌리다.

 

그러니까 전도몽상을 바로잡아서

지혜, 올바른 지혜를 갖추는 것이

뿌리를, 욕망의 뿌리를 뽑는 것이고

집착을 뽑는, 뿌리 뽑는 것이고

그래서 괴로움을 벗어나서 해탈에 이르는 길이다

이렇게 얘기를 하고 있는 것이죠.

 

이걸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부정하기는 어렵고

그러나 그렇다고 무슨 우리가 좀비도 아니고

욕망 없는 사람? 거세된?

그것도 좀 이상하지 않습니까?

 

하지만 이렇게 보지 않아도

있는 그대로 보는 세상은

그 자체로 기운차고 활발하고 창조적이다,

순간순간 얽매임 없이 자유롭고 창조적이다 라고 하는 얘기도 있기 때문에

 

우리가 욕망, 우리의 생각인 욕망에 꼭 사로잡혀야 되는가 라고 하는 것을 생각해 보면

그게 아닐 수도 있다라고 하는 것을

위안 삼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부처님의 연기법은 인본주의다,

사람의 자리를 찾아준 것이다라고 하는 얘기를 해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