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멘토·코딩교육

[인생멘토 임작가] 정서지능을 구성하는 5가지 역량 3편 - 자기인식, 자기조절, 동기화, 공감, 대인관계기술

Buddhastudy 2023. 7. 13. 19:49

 

 

 

자기조절_1) 자기통제

또한 [자기통제능력]

우리가 경거망동하지 않게 해주는 정신적 능력입니다.

말을 내뱉고 후회하지 않게 해주는 능력입니다.

이것은 욱하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지 못한 능력인 것이죠.

 

어떤 말을 내뱉거나, 어떤 행동을 한 후에

후회하고 자책한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겁니다.

그런 후회는 자기통제를 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이죠.

 

해서는 안 될 말을 하거나 해서는 안 될 행동을 하거나

이것은 결국은 모두 다 본인에게 손해가 되는 것들입니다.

 

자기통제력은

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을 서로 잘 구분하는 능력이기도 합니다.

원하는 것만 계속 추구하다 보면 삶이 피폐해집니다.

왜냐하면 원초적인 욕구엔 완전한 만족이 없기 때문이에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습니다.

쇼핑하는데 끝이 있습니까?

사고 싶은 걸 사는데 끝이 존재하나요?

 

자기통제를 못하는 사람은 자신의 욕구를 잘 참지 못하기 때문에

오만가지 문제에 시달릴 겁니다.

자기통제력은 만족지연능력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기 때문에

자기통제를 못하는 사람은 도덕성이 낮은사람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아무데다 침을 뱉고

담배꽁초도 길거리에다 버리는 사람들을 보면

우린 그런 사람들을 신뢰할 수가 없어요.

 

이 사회에서 우리가 같이 살아가는데 있어

그런 사람들은 도움이 별로 안 되는 사람들입니다.

왜냐하면 그런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를 잘 참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불편을 줄지언정

자신의 만족을 먼저 선택하기 때문입니다.

 

, 자기통제력이 약한 사람들은

꾸준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한 일을 잘 해내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스포츠라든가, 악기 연주라든가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지만

해냈을 때 큰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경험을 하지 못합니다.

 

에이미 추아 교수가 말했듯이

어떤 일이든 잘하기 전까진 재미없는 법인데

그 재미없는 오랜 시간을 참지를 못하는 거죠.

 

그래서 부모는 아이가 자기통제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셔야 하는데

다음 두 가지 부면에서 신경을 쓰시면 좋겠습니다.

 

자기통제력을 키우려면

-우선 첫째,

아이가 자신의 만족을 지연했을 때

더 큰 성취감과 기쁨이 온다는 경험을 해보게 해야 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욕구를 잘 조절해서 잘 인내했을 때

뭔가 좋은 일이 생긴다는 패턴을 학습할 수 있도록 부모님이 신경을 써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통제했을 때

좋은 일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하게 되면

아이입장에선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인내 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둘째로, 아이는 자기통제를 하지 못했을 때

수치심을 느껴보아야 합니다.

수치심이란 부끄럽다는 감정이죠.

아이가 자기통제에 실패했을 때 수치스러운 감정을 느끼면

그런 감정을 다시 느끼고 싶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상황이 왔을 때 자신을 통제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자기조절_2) 신뢰성, 성실함

신뢰할만하고 성실한 사람의 말은 믿을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이 뭔가를 하겠다고 약속하면

그것을 꼭 할 거라고 믿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지금까지 자신의 가치와 신념대로 행동을 해왔기 때문에

이번에도 자신이 한 말대로 실천할 거라는 걸 신뢰할 수 있는 것이죠.

 

신뢰성이란

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언행일치라는 고사성어가

신뢰성이 무엇인지 잘 나타내주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실함은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성실한 사람은 자신의 약속을 잘 지킵니다.

약속이라는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기 때문이죠.

 

성실한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약속을 한 경우

자신을 잘 통제해서 약속을 지킵니다.

그리고 성실한 사람은 자신이 맡은 바 임무나 일을 책임지고 처리합니다.

 

따라서 성실함도 정서지능의 자기조절 영역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조절하지 않으면 약속을 지키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성실함이란 개념엔 부지런함이란 특성도 포함하지만

거짓이 없다는 개념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성실함의 반대는 나태함입니다.

그래서 성실함의 개념적 뜻은

정성스럽고 참되다는 것입니다.

성실함엔 거짓이 없다는 개념이 있기 때문입니다.

 

성실한 사람에겐 거짓이 없으므로 자신이 한 약속은 지켜야 되는 것이고

따라서 신뢰성과 성실함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고 표현합니다.

 

성실한 사람은 자신의 약속을 잘 지키니 신뢰할만하고

신뢰할만한 사람은 성실합니다.

반대로 성실하지 않은 사람은 신뢰할 수 없죠.

성실하지 않다면 약속을 언제든지 깨버릴 수 있다는 거니까요.

 

그래서 순서적으론 성실함에서 신뢰가 나오는 것입니다.

사람이 성실해야 그 사람을 신뢰하고 믿을 수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자기조절_3) 적응력

사람에게 발생하는 변화는 때때로 어려움을 줍니다.

특히 성인보다는 아이들이 신체적, 정신적인 성장을 거치면서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런 변화가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만 지내던 아이가

유치원에 가게 되고 학교에 입학하게 되면서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인 변화는 사실 엄청난 것이죠.

 

사회적 경험을 하면서 짜증과 스트레스 혹은 실망과 좌절감을 경험하는 이유는

내 주위에서 일어나는 변화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그런 변화에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법을 아는 것은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 필수적인 교육의 한 가지 영역이 됩니다.

 

[적응력]이란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입니다.

아이에게 신체적, 사회적인 변화가 생겼을 때

아이가 이를 문제로 바라보고 스트레스를 느낄 것인가

아니면 이를 새로운 경험과 탐험으로 받아들일 것인지는

아이가 가진 가치관과 적응력 수준에 달려있습니다.

 

아이가 변화된 환경과 상태에 잘 적응하려면

자신의 감정과 상태를 잘 인식하고

본인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그리고 해야 하는 것을 구분하고

적절하게 자기통제를 하면서

성실하고 자신감 있게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수행해야 합니다.

 

, 아이가 적응력이 좋으려면

정서지능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가지 역량들을 잘 활용해야 하는 것이죠.

 

이렇듯 정서지능에 포함되어 있는 역량들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부모님은 아이가 어떤 역량들을 더 집중적으로 계발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잘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목표를 이루고 말겠다는 목표의식을 가지려면

동기가 필요합니다.

 

동기도 감정의 일종이고

사회적 성취를 이루어내는 사람들을 보면

동기부여가 잘 되어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은

감정과 함께 모든 욕심과 욕구가 사라져버려서

동기 역시 가지지 못한다는 것도 확인했었어요.

 

동기에 관한 여러가지 이론들을

이미 이전 강의들에서 다루어진 적이 있습니다.

 

정서지능의 역량 중에 동기화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사회적 성취를 위해 정서지능의 계발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예컨대, 아이가 공부를 열심히 하고 싶어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동기이고

그런 동기가 일종의 정서 상태라고 한다면

부모는 아이의 동기계발을 위해

검증된 심리학적 방법들을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