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법문/월도스님_BTN즉문즉설

월도스님 BTN즉문즉설 5_7. 제 아들이 삼재입니다. 어떤 기도를 하면 좋을까요?

Buddhastudy 2017. 7. 18. 19:25


사실은 그 삼재라고 하는 것과 불교는 직접적인 인연이 없어요. 이것은 우리의 과거로부터의 내려왔던 일종의 데이터 같은 것입니다. 12지신을 중심으로 띠를 중심으로 3년씩 머무르다 가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 삼재인데요. 제가 생각할 때는 없는 것 보다는 나은 것 같아요.

 

왜냐하면 삼재 때문에 기도라도 열심히 하니까. 어느 계기든지 동기유발을 통해서 내가 열심히 긴장하고 노력한다라고 하는 자체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저는 생각을 하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봤을 때 이 불교가 참 좋은 종교라고 생각합니다. 불교는 모든 것을 다 포괄합니다. 모든 것을.

 

그래서 아니라고 말하는 경우가 없어요. 모든 것은 다 옳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이 세상에 가장 완벽한 진리는 부처님 진리에요. 그래서 기도하면 안되는 게 없어요. 기도는 부처님에게 뭔가를 달라고 구걸하는 게 불교의 기도는 아닙니다.

 

불교의 기도는

내 마음속에 번뇌가 들끓고 있는 중생의 근기를 탈피하고

지혜로서 세상을 구원할 수 있는 눈을 뜨는 것,

마음의 눈을 뜨는 자체가 불교의 가르침이거든요.

 

이 가르침으로서 모든 부분을 다 해소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가르침을 이해하는 사람이 많지가 않아요. 그러니까 그 모든 사람들 수용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선해지는 기능에 대해서는 다 인정을 했던 겁니다. 그래서 1700여 년 전에 불교가 들어올 때 이미 우리나라에는 산신신앙도 있었고 무속, 토속 여러 가지 신앙이 있었거든요.

 

그 모든 신앙이 있는데, 그 모든 신앙이 대상을 정하는 많은 사람들이 거기에다 빌 때, 나쁘게 해서 복달라고 하는 놈은 한 사람은 없었거든요. 장독대에 빌어도 착할 테니까 복달라고 했고, 산에 빌어도 착할 테니까 복달라고 했고, 심지어는 문고리를 잡고 빌어도 뭐라고 그랬어요? 내가 정말 착한 사람 될 테니까 복달라고 했기 때문에 그 착해서 복을 받겠다고 하는 그 이론이 틀린 게 없기 때문에 너도 옳고 너도 옳고, 너도 옳고.

 

이 삼재라고 하는 것도 이런 것은 조심해서 살아라 라고 하니까 조심해서 살기위해서 애쓰는 것은 나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이런 모든 것을 불교가 수용을 한 겁니다. 그래서 말씀을 드리면

 

삼재에 억매이지 말고

기도하면 다 된다.

 

열심히 기도하면 이 세상에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으니 그런 거에 신경 쓰지 말고 열심히 기도할 수 있는 그런 마음을 가지면, 삼재 같은 것에 끄달리지 않고 살 수 있는 게 불자라고 하는 점을 기억하시고, 긍지를 가지고 노력할 수 있는 불자님들 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