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멘토·코딩교육

[인생멘토 임작가] 정서지능 계발방법 - 애착 Attachment 4편

Buddhastudy 2023. 8. 24. 19:10

 

 

#애착에 관해 밝혀진 사실들

 

심리학자 쇼어에 따르면 애착경험은

아이가 3살 정도쯤에 아이의 성격 일부가 되며

세상에 대한 이해와 훗날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지난 강의에서 성격에 대한 이론인 MBTI 이론을 배우셨습니다.

그런데 MBTI 이론은 타고난 기질적인 성격에 대한 이론입니다.

그래서 제가 ISFP 모험가형 성격이지만

같은 ISFP 성격유형이라고 해도

부모가 어렸을 때 어떤 양육을 했느냐에 따라

이후에 사회적으로 보여지는 성격의 형태가 사뭇 달라질 수 있는 겁니다.

 

기질적으로 같은 성격유형이라고 해도

어떤 사람은 매력적이고 좋은 사람인데 어떤 사람은 싫단 말이에요.

그게 왜 그러냐면 그 사람이 인간적으로 성숙하지 못했기 때문이거든요.

 

여러분이 지금까지 배운 바에 따르면

우리가 싫어하는 사람은

발달을 제대로 못했다고 설명할 수도 있고,

동기가 없어서 혹은 정서지능이 계발되지 않아서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은 기질적인 성격과 큰 연관성은 없죠.

후천적으로 아이가 태어나서 누구에게 양육 받았느냐가

아이의 행복과 더불어

사회적 성취 수준까지 결정한다는 것을 지금까지 살펴보지 않았습니까?

 

애착은 어린 시절의 한 때에 그치고 마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데 기본 밑바탕이 되기 때문입니다.

 

어떤 수채화 작품에서 기질이 그림의 스케치 부분이라고 한다면

애착은 그 스케치 위에 색깔을 입히는 채색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의 인생이

어두침침한 잿빛 그림이 되느냐,

화사하고 밝고 아름다운 그림이 되느냐는

많은 부분을 후천적인 애착경험이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아기가 안정적인 애착으로부터 느끼는 따뜻함과 신뢰감, 안전감은

이후의 삶에서 건강한 심리적 발달을 위한 토대가 됩니다.

아이가 태어난 후 아이는 엄마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주변 환경을 이해하는 틀과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틀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만들어진 틀은 평생 지속된다는 거예요.

 

 

 

그리고 이 틀에 대해 보울비는 애착관계에 따른 내부작동모델로도 설명합니다.

이 모델은 아이가 세상과 자아와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는 부면에 대한

정신과정을 묘사하는 인지적 프레임워크입니다.

, 하나의 추상적인 틀인 것이죠.

 

아이는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때

기존의 자신의 기억과 자신의 내부작동모델에 따라

사람들과의 만남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이 모델에 대해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설명해보자면

주양육자의 양육의 질이

아이가 세상에 대해 가지게 되는

내부작동모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첫 번째입니다.

 

그래서 이 내부작동모델이

긍정적이고 사랑받았다는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면

세상이 안전하다고 느껴서 더 활발하게 세상을 탐험하면서

자신감 있는 아이가 되는 것입니다.

 

만약 이 내부작동모델이

난 사랑 받을만한 가치가 없고

세상은 나를 거부하고 있다는 경험으로 만들어지면

세상이 나에게 무관심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는 소심한 아이가 된다는 것이고요.

 

내부작동모델이

세상이 나에게 화를 내고 있고

이해할 수 없는 혼돈이라는 경험으로 만들어지게 되면

세상이 나에게 적대적이라고 생각하게 되어서

반항하는 아이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 모델을 좀 더 쉽게 설명해보자면

엄마가 아기의 표현에 민감하고 따뜻하게 반응해주면

아기는 이 세상이 안전하고 수용적이며

다른 사람들은 나에게 긍정적이고 호의적이라는 틀을 갖게 되어

세상을 살아가면서 만나는 사람이나 상황에 대해

좀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입니다.

 

반면 엄마가 냉정하고 무관심하거나 강압적이면

아기는 엄마라는 존재만 냉담하다고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이 세상과 다른 사람들 모두가 자신에게 적대적이거나 무관심하다고 받아들여서

이런 틀이 성인이 되었을 때의 대인관계와 사회적 경험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겁니다.

 

엄마가 아이에게 보여준 모습과 아이에게 했던 말, 행동,

엄마와의 상호작용에서 경험했던 반응들은

하나의 틀이 되어서 오랜 시간이 지나면

확고한 성격구조로 자리를 잡습니다.

 

이처럼 애착은

아이가 자라서 일생동안 사랑하고 협력하고 관계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사람의 인생에 있어 거의 전부라 말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자아존중감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내가 가치가 있는 사람인가, 나는 사랑받을만한 사람인가' 라는

자아존중감에 애착이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겁니다.

 

나의 애착대상인 엄마가

나를 지지하거나 이해해주지 않는다는 것은

힘든 나를 단지 도와주지 않는 것으로 끝나는 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힘든 나를 더 힘들게 하는 겁니다.

 

나에게 친밀해야 할 사람이 보여주는 냉담한 반응은

심리적으로 너무나 고통스럽기 때문입니다.

우리와 정서적인 유대감이 없던 사람이

우리를 거절하는 것은 우리에게 별로 상처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와 가깝던 사람이 아니었으니까요.

 

그러나 한때 사랑했던 연인들이 헤어졌을 때

가슴이 그렇게 아프고 고통스러운 것은

한때 친밀했던 정서적 유대감이 끊어졌다는 상실감 때문입니다.

 

아이가 갑작스럽게 엄마와 강제로 떨어져 있게 되거나

자신의 요구나 욕구가 거절당했을 때

혹은 엄마에게서 지속적으로 방치되는 상황을 경험할 때

아이들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아이에게 있어 그런 공포는 전쟁이 바로 코앞에서 벌어지고 있을 때

느끼는 불안과 공포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더 최악인 것은 건강한 애착경험이 없는 아이는 나중에 성장했을 때

자신이 빈번하게 느끼는 불안감이 어디에서 비롯되었고

왜 불안한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고

이해하기도 힘든 이 사라지지 않는 불안감을

혼자서 끌어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부모가 아기가 처음 태어났을 때

반드시 아이에게 해주어야 하는 첫 번째 의무는

아이에게 건강한 애착경험을 주는 것입니다.

이건 아내만의 책임이 아니며 남편도 아내가 건강한 애착경험을 아이에게 줄 수 있도록

아내를 옆에서 잘 지원해주셔야 하는 일입니다.

 

 

#애착형성 방법

 

애착형성 방법은 정서지능 강의에서도 이미 언급되었던 것처럼

아기와 정서적 조율을 하는 것입니다.

, 엄마와 아이의 사소한 작은 상호작용에서

아이의 감정들에 엄마가 잘 반응해주는 것이죠.

아이의 욕구와 필요를 잘 충족시켜 주는 것은 물론이고

아이의 감정까지도 잘 인지하고 공감해주고 수용해주는 것이죠.

 

아기가 감정을 표현할 때마다 안아주거나 말을 해주는 등으로

엄마가 아이가 느끼는 것을 역시 느낀다는 피드백을 주는 것이 정서적 조율입니다.

그래서 엄마가 아기와 정서적 조율을 잘하려면

아기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이것은 엄마가 아기에게 항상 주의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면서

아기가 필요로 하는 것을 그때 그때 알아차리고

적절하게 해소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기에 대해 따뜻하고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고

아기가 무엇을 필요로 하고

무엇을 불편해하는지 정확하게 알아차리고

함께 하는 활동이 많고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면

아기는 엄마로부터 편안함을 느끼면서

엄마에게 안정적으로 애착됩니다.

 

반면 아기의 행동에 대해 쉽게 당황하고 침착하게 대하지 못하고

아기가 보내는 신호에 둔감하고

아기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자주 표현할 경우엔

아기가 불안정한 애착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심지어 아기를 무시하거나 학대하는 경우

아기는 혼란스러운 애착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아기에게 종일 주의와 관심을 기울이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그래서 엄마들은 아이의 신호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충분한 육체적, 정신적 에너지가 본인에게 있어야 합니다.

 

또 아이가 성격이 예민하고 까다로운 아이로 태어났을 경우

아기를 돌보는 일이 더 힘들 겁니다.

그리고 엄마 본인 성격이 감정에 무딘 성격일 경우

아이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면에서

선천적인 어려움을 겪을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 엄마 스스로의 인위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엄마가 감정에 대한 연습을 더 하셔야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