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15. 윤홍식의 즉문즉설 - 자타불이 (自他不二)

Buddhastudy 2013. 4. 21. 18:37

출처 : 홍익학당

  

. 지금 주시는 질문을 들으시면 다 아시겠죠? 대부분 답들을 다 정확히 알고 계세요. 양심이 다 똑같이 계시기 때문에요. 지금 이런 거 어떻게 연구하면 좋겠습니까? 이런 주제가 하나 이제 철학적 주제입니다. 철학자들이 연구하는 게 밥 먹고 저런 걸 연구해요. 타자를 사랑 할 수 있느냐? 없느냐? 이런 책을 한 권, 수십 권을 쓰고, 그걸 또 읽으시고. 이런 게 현실인데 제가 영적 진리를 탐구하자고 하는 건요. 여러분 한 분이 철학자 되시자는 얘기거든요. 그럼 철학자 되시려면 이런 거에 대해서 자명한 판단을 내리실 수 있어야겠죠. 그러려면 영적인 실험을 좀 하셔야 되요.

 

명상을 좀 하셔가지고 자기 내면에서 그 최소한 여러분의 에고성. 에고는 개체적 자아죠. 나하고 남을 다르다고 보는 자아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나하고 남이 분명히 다릅니다. 참나에 들어가면 여러분도 분명히 겪으시겠지만 [몰라, 괜찮아]하고 나와 남을 구분을 딱 안 한 상태에서 느껴지는 자아이기 때문에 이때는 절대적 자아라고 많이 하는데요. 여기서는 나하고 남이 즉 他者타자라는 게 없죠. 他者타자. 나 말고 다른 사람이 없습니다. 여기(에고)서는 他者타자라는 존재가 있습니다. 그러면 여기까지 실험을 통해서 알아내셔야 되는 겁니다. 이거를 그냥 머리로 하는 철학자 분들은요. 많이 계시겠지만 그분들은 본인도 찜찜하실 거에요. 얘기하면서도. 진짜 그럴까? 하는. 내 머리에는 그렇지만 진짜 그럴까?

 

만약에 제가 이걸 다룬다면요. 철학적으로 어떻게 다루냐 하면 저 같으면 에고의 존재와 참나의 존재를 먼저 확인할 겁니다. 명상을 해보시면 나의 순수한 자아. 나의 진정 순수한 자아에선 나와 남이 없다는 걸 아실 겁니다. 그래서 이 에고로 또 돌아보면 나와 남이 철저히 나뉜다는 걸 아실 겁니다. 질문 주신 것도 남에 대한 우리가 이제 철학자들이 늘 얘기하는 自他一如자타일여. 성인들이요. [나와 남을 둘로 보지 마라.] 했는데 이걸 여기다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참나에선 남이 없어요. 에고에서는 남이 있어요. 에고에서는 남이 있는데 이미 나라는 게 나와 남이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나라는 게 나에 대한 사랑이 커서 이기적이죠.

 

그래서 나에 대한 사랑이 크기 때문에 남을 똑같이 사랑해준다는 건 어려워요. 현실적으로. 그렇죠? 방금 말씀하신 거에 다 답이 있는데. 그래서 방금 그 질문하신 것도 이런 게 자명하다고 느끼셨습니까? 말씀하셨겠지만, 그 자명한 걸 더 자명하게 분명히 해보세요. 답은 이 안에 있습니다. 요것도 명확한 진리이죠. 이것도 명확한 진리죠. 진리끼리 만나면 좋은 답이 나옵니다. 그럼 뭘까요? 즉 문제는 이겁니다. 내가 현상계에 오면 나는 세상을 내 위주로 해석하기 때문에 절대적 타자가 없습니다. 지금 여러분이 남이라고 얘기해요. 저한테. 완전한 남도 없어요. 사실은. 현상계에 오면. 왜냐하면 여러분도 제 마음에 들어온 여러분이기 때문에.

 

여러분 순수한 여러분이라는 게 아니고 서로 얽혀있습니다. 여러분 마음 안에 제가 들어가 있죠. 그럼 여러분 마음속에 있는 저에 대한 그 이미지나 그 느낌들이 이미 같이 작용하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서로 남을 바라보기만 해도 서로가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그래서 그런데 문제는 이겁니다. 그런데 결국은 내 위주로 해석하고 있기 때문에 우주를 각자가. 각자가 자기 위주로 해석하니까 자기의 이기심을 조금만 눌러주면 남을 역지사지 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진리이죠. 내가 내 에고성을 조금만 이기적인 마음을 조금만 내려놓으면 남하고 훨씬 잘지 낼 수 있다. 하는 것도 아시겠죠.

 

상대방입장을 한번만 역지사지해줘도 남하고 좋은 인간관계가 형성되죠. 이것도 실행해 보시면 아실 겁니다. 맞다는 얘기를. 집에 가서 가족 분들한테 말 한마디 한번 어느 날은 나쁘게 한번 해보십시오. 어떤 결과가 벌어지나. 그 다음 날 가가지고 상대방 입장을 배려한 말을 한번 해보십시오. 실험을 해보세요. 진짜로. 철학자는 실험을 해보는 겁니다. 과학자들만 하는 게 아니고. 더 엄격해야 되요. 철학자들이 하는 실험은. 무형의 세계를 다루기 때문에요. ~ 그렇게 해보시면 이런 말들이 다 자명하다는 게 나오시면 자타일여가 뭔지 나오실 겁니다. 절대계에서는 나와 남이 없고 현상계에서는 나와 남이 있고.

 

내 위주로 세상을 해석하다 보니까 분명히 남한테 섭섭하기가 쉽고요. 완벽하게 남을 이해한다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현상계에서. 그럼 참나의 마음을 이해하겠거니 하고 참나로 들어갔더니 남이 없어져버려요. 어떡합니까? 이 중간지대에 답이 있는 겁니다. 참나의 힘을 빌어다가 결국에는 참나의 힘 가지고 뭘 할 수가 있나요? 에고의 힘을 누를 수가 있습니다. 내 에고에. 내 욕심대로 하려는 힘을 누르시면 결국 남의 입장을 배려해주는 이게 자타일여입니다. 철학자들이 말하는 자타일여는 이거밖에는 불가능해요. 그래서 자타일여를 얘기할 때 공자님이 뭐라고 했죠? . (똑같을 )입니다. 나와 남을 똑같이 보는 마음으로 살아라.

 

서는 뭐라고 했냐 하면 공자님이 [내가 당해서 싫은 걸 남한테 하지 마라.] 라고 했습니다. 이건 하실 수 있죠. 자타일여라는 게 이겁니다. 그 사람을 나랑 똑같이 사랑한다는 게 아닙니다. 그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요. 에고의 조건에서는. 참나로 들어가 버리면 남이 없고. 에고로 오면 나와 남이 선명해지기 때문에 그건 불가능해요. 그러면 결국 이 성인들이 요구하는 자타일여는 내가 내 입장을 조금 낮추고 상대방 입장을 더 배려해 주는 노력입니다. 그냥. 그것만이 인간이 살 수 있는 답입니다. 예수님은 뭐라고 했죠? [내가 대접받고 싶은 그대로 해줘라. 먼저.] ~ 이거 잘 이해하셔야 되요.

 

내가 대접받고 싶은 대로 해주라고? 그건 이겁니다. 내가 지금 저 상대방의 처지라면 좀 더 풀어 드릴게요. 내가 지금 어떤 상대방한테 말을 하려고 하는데, 내가 저 상대방이라면 요런 소리는 듣기 싫겠다 하는 걸 배려해서 감안해서 해주라는 겁니다. 아니면 이런 대접을 받고 싶겠다 라는 걸 장사할 때 기본이죠. 뭐죠? 손님이 뭘 원하는가를 먼저 파악해서 해라. 돈 될 때는 귀신같이 하는 거, 이게 서죠. 이거를 그냥 돈 안 되는 일에도 적용하시려면 참나의 힘으로 에고를 조금만 눌러서 쓰시면 됩니다. 이걸 잘하시면 성인이에요. 그래서 자타일여에 대해서 너무 완벽한, 나와 남은 둘인데 어떻게 하나로 만들 방법이 없습니다. .

 

그래서 지금 제가 방금 하나 보여드린 게요. 이런 식으로 철학을 하시는 겁니다. 영적 탐구를 할 때 저 같으면 저런 식으로 접근합니다. 분명히 안 되는 거 분명히 되는 걸 가린 뒤에 자명한 것들끼리 엮으면 그 안에서 이제 우리가 살아야 할 방법이 나옵니다. 그래서 엄한 말에 휩쓸리지가 않습니다. 누가 와서 뭔 얘기를 해도 이게 실존이고. 제가 실험해본 결과 이게 자명했기 때문에 이 방식대로 저는 대처할 겁니다. 아시겠죠? 나와 남은 분명히 다르고 내가 그 사람을 다 이해한다는 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저는 저대로 최선을 다할 뿐이죠. . 이해되시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