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13)

[즉문즉설] 제261회 잃은 첫아이에 대한 고통

Buddhastudy 2013. 1. 27. 05:05

출처 YouTube

     

. 어린 자식을 보낸 부모로서 마음이 아픈 건 우리가 다 공감을 할만한 얘긴데. 지금 또 아이 생각을 하니까 또 눈물이 나잖아요. 지금 아이가 죽은 건 아니죠? 지금 우리가 여기서 법문 하는 자리에서 무슨 일어난 일이 아무것도 없잖아. 그죠? 그런데 지금 눈물이 난단 말이오. 그럼 이 현상을 어떻게 설명을 할 수 있겠어. 지금 아무 일도 없는데. 그러니까 그 아이 생각을 하면 그것을 지금 얘기하기 위해서 그 아이 생각을 할 때, 지금 그 아이 생각에 사로잡힘이란 현상이 일어납니다.

 

그 생각에 사로잡힘 현상. 그 생각에 사로잡히면 머릿속에서 이 뇌나 모든 신체작용이 어떠냐 하면, 지금 내 앞에서 죽을 때와 똑같은 이 신체정신작용이 일어난다 이거요. 그래서 눈물도 나고, 목도 메이고, 이게 마음이 한 동안 가라앉지가 않는 거요. 그럼 실제로 죽었을 때보다 이 슬픔이 오래가지 않는 이유는 이렇게 또 얘기하니까 그 사로잡힘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그래요. 아이가 죽었을 그 당시도 이 사로잡힘에서 금방 벗어나면 금방 괜찮아요.

 

그때는 그 사로잡힘에서 벗어나는데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슬픔이 오래 간 거고. 지금은 아무 일도 없는데도 또 슬픔이 일어난 거는 그 생각이 사로잡혔기 때문이오. 그래서 일체유심조라 그러는 거요. 내 마음이 만드는 거요. 이것은 나의 문제지 애하고는 아무 상관이 없어요. 지금이라도 내가 아들 생각을 해서 그 생각에 사로잡히면 또 슬픔이 생기는 거요. 그럼 그걸 놓으면 어떠냐? 금방 또 밝아지는 거요.

 

그러니까 아이가 방안에서 죽었을 때도 아이 죽음에 대한 생각에 사로잡히지 않으니까 나는 밖에서 떠들고 놀 수 있는 거요. 지금은 아이가 죽은 상황 아닌데도 왜 슬프냐? 이거는 그 생각에 사로잡히기 때문에 그런 거요. 그러니까 아이가 죽고 살고 이거 하곤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우리의 괴로움과 슬픔과 기쁨과 즐거움 하고, 사람이 죽고 살고 이건 아무 관계가 없어요. 슬픔 괴로움 외로움 이거는 내 생각에 어떻게 작용하느냐에 따라 일어나는 거다 이거야.

 

그래서 모든 것이 다 마음이 짓는 바다. 이렇게 말하는 거요. 지금 여러분들이 앉아 있는데. 지금 여러분들의 자녀나 남편이나 부모나 지금 돌아가셨다 하더라도 그 정보가 여러분들에게 입력이 안 되면 여러분들 지금 아무 문제가 없어요. 설령 여러분들 몸에 지금 암세포가 있어서, 종양이 있다 하더라도, 지금 그 정보가 여러분들께 들어오지 않으면 여러분들 아무 문제가 없어요.

 

실제 사람이 죽었냐? 살았느냐? 실제 종양이 있느냐? 없느냐? 하고는 아무 관계가 없어요. 있어도 돌아가셔도 정보가 입력이 안 되면, 거기에 생각이 사로잡히지 않으면 아무 문제가 없고. 여러분들이 갑자기 라디오 방송에서 어느 고속버스가 어느 비행기가 추락해서 어느 회사에서 불이 나서 사람이 몇 백 명 다쳤다. 그때 내가 ~ 그 비행기 우리 남편이 탔는데.’ 이 생각이 드는 순간 어때요? 불안하고 초조하고 두려움이 생긴다. 실재하고 아무 관계가 없는 거다. 이 말이오.

 

사람이 죽어도 모르면 아무렇지도 않고, 안 죽어도 텔레비에 보면 전원 스위치 꺼버리면 아무것도 없잖아. 그죠? 거기 영상이 나오는 거 보고 울고 우리가 그러잖아. 울먹거리고. 거기에 사로잡히면 실제처럼 느껴지는 거고. 사로잡힘이 없으면 아무 문제도 없고 그런 거요. 그래서 이 마음의 작용을 알아야 된다. 그러니까 애가 죽어서 슬픈 게 아니오. 애 죽음하곤 아무 상관 없어요. 그다음 죽었다는 생각에 사로잡히니까 지금 10년이 지났는데도 계속 작용을 하잖아. 그러니까 이 슬픔이라는 것은 죽음과 직접적 관계가 없다. 이걸 내가 먼저 얘기하는 거요.

 

그런데도 내가 슬퍼하면 나한테도 도움이 되느냐? 그러면 할 수 있어요. 직접적인 관계가 있든 없든. 그런데 슬퍼하면 나한테 이익이에요? 손해에요? 내 건강이나 손해죠. 그럼 내가 자꾸 슬퍼하면 가족에게 이로워요? 손해요? 손해요. 그러면 내가 슬퍼하면 죽은 아이, 죽은 사람에게 도움이 돼요? 안 돼요? 아무 도움 안 돼요. 이런 걸 백해무익이라 그래요. 아무 도움이 안 되고, 손해만 나는 짓을 계속 한다. 이 말이오. 거 왜 할까? 바로 한 생각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다른 말로 하면 어리석기 때문에 그런 거요.

 

밤에 자라고 이불 펴서 딱 누워있으면 피곤한 몸을 뉘여 잠만 자면 되는데. 그때 악몽을 꾼다. 강도에게 쫓긴다. 살려달라고 고함을 친다. 깨어있는 사람이 보면 어때요? 헛소리한다. 잠꼬대한다. 이리 말하지. 자면 될 텐데. 아무 문제도 없는데. 아우성을 친다. 이 말이오. 그러면 아우성을 치는 건 누군가가 괴롭혀서 아우성을 치는 거요? 꿈 때문에 아우성을 치는 거요? 그런데 내가 보니 꿈이지 본인은 어때요? 꿈이요? 꿈 아니오? 꿈이 아니오. 눈을 떠야 꿈이지. 눈 감고 있을 때는 꿈 아니다. 이 말이오. 현실이다. 이 말이오.

 

그것도 똑같은 작용이요. 꿈에서 악몽을 꾸는 것처럼. 아들이 죽었다 하는 생각에 사로잡히면 꿈속과 똑같은 정신 작용이 일어난다. 그럼 몸과 마음에서 이 모든 작용이 눈물도 나고, 마음도 가라앉고, 목에도 영향이 오고, 이렇게 다 작용이 일어나요. 그러니 굉장히 어리석은 짓이다. 아무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 손해만 된다. 그런데도 우리는 슬프다. 울먹거린다. 왜 이렇게 할까? 점잖게 말하면 몰라서. 무지. 다른 말로 하면 전도몽상. 좀 적나라하게 말하면 미쳐서.

 

그래서 자신이 자신에게 불이익 손해가 되는 것을 계속 자처한다 이거요. 그래서 지금 생긴 문제가 죽은 아이에게도 도움이 안 되고, 뱃속에 있는 아이에게도 도움이 안 되고 화를 자처한다. 애가 자는 줄 알았더니 가봤더니 죽었더라. 뭘까? 병이. 그렇게 갑자기 무슨 누군가가 코를 막아 목을 졸여 죽인 게 아니라면, 저절로 죽었다면, 병명을 정확하니 모르지마는 다수가 뭘까? 심장마비겠지. 그럼 그 아이가 크면 심장 때문에 고생할까 안 할까? 하겠지. 심장판막증이다. 심근색이다 해서. 죽을 때까지 조심하고 해야 돼.

 

그런데 어려서 죽어서 애도 덜 고생하고 나도 덜 고생하지. 만약에 초등학교나 중학교쯤 다니다 죽으면 슬픔이 지금 정도 될까? 열 배나 더 클까? 제가 들어보면 그건 잘된 일이오. 하등 잘못된 일이 없다. 이 말이오. 내가 무슨 잘못 해서. 내가 무슨 잘못해서 내가 죽인 것도 아니고, 내가 이불을 덮어놨다가 질식해 죽은 것도 아니잖아. 자연사란 말이오. 자연사라는 건 자연 현상이오. 죄책감 가질 아무런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인연을 다해서 갔구나. 다음 생에는 이런 불편한 몸 받지 말고 좋은 몸 받아가지고 건강하게 사세요. 이렇게 딱 기도를 하고. 머릿속에서 계속 집착이 생기면 가능하면 정신의 고비를 흔들고 놔버려야 돼. 그랬으면 두 번째 아이라도 건강하게 키우지. 그런데 첫 번째 아이가 그렇게 된 것은 내가 정신으로 너무 민감하기 때문에 심장에 안 좋은 영향을 주었듯이.

 

또 이번에 슬픔 속에 있으면 이번에는 몸만 안 좋은 것이 아니라 애가 나중에 크면 정신적으로 아주 민감하고 잘못하면 신경쇠약이나 우울증 같은 게 오기가 쉬워. 왜냐하면, 엄마가 애기 가지고 태교할 때 거의 우울증 상태이기 때문에. 이게 화를 자처한 거란 말이오. 그러니까 지금도 그것보고 또 슬퍼하고 또 참회하고 또 후회하고 이러면 제3의 화를 자처해. “, 내가 어리석었구나.” 1의 화살을 맞을지언정 제2의 화살을 맞지 말라고 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내가 몰랐구나.

 

이렇게 딱 뉘우치고 끝내버려야 돼. 먼저 죽은 아이에게는 안녕히 계십시오. 좋은데 가라.” 이렇게 놓아버리고. 지금 아이에 대해서는 아이가 앞으로 어떤 자라면서 현상이 일어나더라도

~ 내가 아이 낳고 키울 때 엄마로서 뭐든지 아이를 보호하는 신 같은 존재가 못되고, 연약한 여자의 존재로서 방황했기 때문에 아이의 기반, 기초가 좀 약하다. 그래서 애가 정신적으로 불안하고 그러겠다. 그러니 내가 정신을 더 기울여서 기도를 더 해 줘야 되겠다.” 아이를 이해하는 마음을 내야 돼. 죄책감을 가지라는 게 아니야.

 

그런데 또 죄책감을 가져. 그럼 또 제3의 화를 자처하는 행위요. 그러니까 먼저 간 아이에 대해서는 안녕히 가세요.’ 하고 집착을 놓아 버리고. 그것이 그 아이에게 가장 엄마로서 최대로 잘 할 수 있는 일이오. 그 이상 다른 건 없어. 그다음에 지금 아이를 위해서는 기도를 하면서 아이가 어떤 경우에도 내가 감사를 해라. ‘저게 누구 닮았나?’ ‘저게 왜 저러나?’ 이런 생각을 버려야 된다 이거요. 죄책감을 가지면 안 돼. 죄지은 건 아니야.

 

내가 어리석어서 그런 슬퍼하는 가운데서 애가 자랐지. 내가 의도적으로 애를 그렇게 만들기 위해서 슬퍼한 건 아니다. 이 말이오. 죄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이 말이오. 그건 또 제 3의 화를 자처한다. ‘다만 내가 어리석었구나. 그래서 그 과보를 내가 달게 받겠다.’ 자라면서 지켜보고 그걸 알면 애의 행동에 대해서 내가 미워하고 화나고 이런 거보다는 오히려 나를 점검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된다. 그렇게 기도하시면 괜찮아요.

 

자꾸 죄책감을 갖는 건 나빠요. 이건 정신 질병에 속합니다. 죄책감은. 그러니까 이제 눈물 그만 흘리시고. 아이 얘기를 어디 가서 하더라도 담담하게 할 수 있도록. 눈의 작용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눈물이 흘러도 목이 메지 않도록. 목이 멘다 하더라도 그 감정에 휩쓸리지 않도록. 그렇게 해야 나에게도 좋고. 가족에게도 좋고. 먼저 간 아이에게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