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행복의 진리, 그 첫 번째 이야기를 해드릴게요.
행복은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참 어려운 얘기에요.
이게 가능하긴 할까?
회의가 밀려올 때도 많죠.
행복이 너무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땐
내일의 목표를 잊고
오늘의 기분에 집중할 필요가 있어요.
아주 단순하게 이야기하자면
행복은 기분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행복. 이 모호하고 추상적인 상태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심리학에서는 다음 두 가지 질문을 사용합니다.
첫째. 지난 3개월 동안 긍정적인 정서를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둘째, 전반적으로 당신의 삶에 얼마나 만족합니까?
행복에 관한 가장 중요한 사실이 이 두 문장에 담겨있습니다.
행복이란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얼마나 만족하는지에 대한 나의 생각인 동시에
그저 순간순간 느끼는 나의 기분이기도 합니다.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이 말은 행복의 진리를 담은 핵심 문장 중 하나입니다.
주관적 안녕감이라는 이름 아래 행복 연구를 주도한 심리학자 에드 디너가
강조하는 행복 법칙이에요.
큰 기쁨을 추구하는 행위는
행복에 여러모로 불리한 선택입니다.
그 이유를 살펴볼게요.
첫째, 엄청나게 기쁜 사건은 인생에서 자주 일어나지 않아요.
사람들이 매일 어떤 감정을 느끼고 사는지, 추적한 연구들이 있는데요
큰 기쁨을 느끼는 순간이 일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3%에 지나지 않아요.
둘째, 큰 기쁨에는 대가가 따릅니다.
강렬한 기쁨을 느낄수록, 시련이 닥쳤을 때
좌절이나 슬픔도 더 강렬하게 경험합니다.
사소한 불편함, 별 것도 아닌 어려움에 더 고통스럽게 반응하게 돼요.
큰 기쁨을 추구할수록 깊은 절망의 늪에 빠질 위험도 커지는 거죠.
셋째, 큰 기쁨은 소소한 일에서 비롯되는 작은 즐거움을 반감시킵니다.
친구와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으며 한가로운 오후를 보내는 일상의 만족감엔 무뎌지는 거예요.
심리학자 필립 부릭만 등의 연구에서
로또 당첨자들이 기대만큼 행복하지 않았던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큰 꿈을 안고 전력을 다하는 삶은 아름답죠.
꿈을 이뤘을 때 느끼는 희열은 의심의 여지없이 소중한 경험입니다.
그러나 인생의 행복은 짧고 강렬한 몇몇 하이라이트 장면들로 결정되지 않아요.
큰 기쁨은 어느새 우리를 배신하거든요.
행복은 특별할 게 없어서 기억조차 못 하는
모래알처럼 많아서 셀 수도 없는, 평범한 장면들의 집합으로 결정됩니다.
“큰 기쁨이 아니라 여러 번의 기쁨이 중요하다.
객관적인 삶의 조건들은 성취하는 순간 기쁨이 있어도
그 후 소소한 즐거움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없다는 치명적인 한계가 있다.”
연세대 심리학과 서은국 교수님의 저서
<행복의 기원> 중 일부분입니다.
행복하기 원한다면 이 구절을 마음에 새길 만해요.
“누가 더 행복한 삶을 살았는가?”
이 철학적인 질문을 단순한 질문으로 바꿀 수 있어요.
“누가 더 자주 잔잔한 미소를 지으며 살았는가?”
생을 마감하는 날, 행복 결산을 한다면
훈훈하고 평안하고 유쾌하고 고마운 감정을 경험한 빈도가
아마 가장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될 거예요.
행복은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여러분 행복은 한 방이 아니래요.
실비 같은 거래요.
비가 오는 것 같지도 않지만
어느새 우리 몸을 다 적시는 가랑비 같은 거요.
저는 여러분이 잔잔한 만족감을 누리시면서
행복하게 사시길 바래요.
오늘은 행복의 진리, 그 첫 번째 이야기였구요
다음 주에 두 번째 이야기 올려드릴게요.
늘 여러분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