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12 8

행복은 욕구와 반비례한다 - 행복 공식 - 행불행 3단계 법칙 - 용타스님의 행복 공식

불교계에서 대표적인 심리교육 프로그램으로 손꼽히는 동사섭이 있다. 용타스님은 5박6일간 고정관념을 깨서 깨달음과 해탈을 돕는 수행프로그램 동사섭의 창시자다. 불교 수행은 ‘고통을 벗어나 행복을 얻는다’는 이고득락(離苦得樂)을 위함이고, 팔만대장경을 한자로 줄이면 마음심(心)이라고 한다. 그러나 무엇이 마음이고, 무엇이 고통을 가져오고, 무엇이 행복인지 불자들도 막연하기만 하다. 행복마을동사섭 회주 용타 스님이 최근 낸 '마음공부'와 '생각이 길이다'란 책 두권에서 이런 테마에 대해 과감하게 요점 정리를 했다. 그는 마음이란 생각과 느낌이라고 한다. 따라서 행복이란 좋은 느낌이고, 불행이란 나쁜 느낌이라는 것이다.이 느낌을 좌우하는 것은 생각이라고 한다. 그래서 나쁜 생각을 하면 기분이 나빠져 불행해지고,..

조현TV(휴심정) 2021.05.12

보리를 위한 펫티켓 교육!|반려견 기초 상

기본적으로 난 보상을 갖고 있어. 하지만 네가 나한테 뭔가 보여줘야해. 아주 간단한 법칙이에요. 네가 내 앞에 와서 앉으면 간식을 줄게. 간식을 주고 싶은 마음은 많지만 내가 안달 나서 널 부르진 않을 거야. 이리와, 하지 말고 젼혀 그럴 필요 없어요. 보호자가 유인하는 것인 아닌 자발적으로 다가오는 것이 중요. 간식을 갖고 있는 강 훈련사를 졸졸 따라다니는 보리 같이 걷는 것의 기본은 강아지가 나를 따라다니는 것부터 시작이다. # 차분하게 산책하기 Tip 간식 = 보상 훈련을 통해 집안에서 반려견이 보호자를 따라다니도록 해 주세요. 여기서 줄만 추가되고요, 줄을 길게 해서 내가 가는대로 강아지가 다라오기만 하면 돼요. 따라니는 연습을 했다면 이번엔 줄을 매고 교육을 해볼까요? 이번에는 냄새만 슬쩍 맡게..

[오은영TV] 오은영의 3남매 기질 완벽 분석★ 3인 3색 개성 강한 3남매 -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 43 회

사람을 도화지라고 비유한다면 깨끗한 아이들이에요. 좋구요 일단 평화롭고 사랑이 넘치는 가족이에요. 그런데 한발짝 더 들어가서보면 몇 가지 알아야 하는 부분들이 있어요. 첫째, 아이들의 기질이나 특징을 좀 이해할 필요는 있어요. 아이들 특징을 보면 첫째는 책임감이 강한 아이에요. 아까 여장부라고 하셨는데, 나름 첫째의 역할을 하려고 대개 애를 써요. 그래서 둘째가 나가겠다고 하니까 문을 닫은게 자기 생각에 나가면 안 될 거 같거든요. 그런데 아이가 울어버리니까 자기 선에서 이 상황이 안 되니까 왕하고 울어버린 거예요. 둘째는 좀 점잖은 아이예요. 어디 가서 먼저 문제를 안 일으켜요. 점잖게 잘 있어요. 어디 가서 원만하게 있고요 첫째하고 둘째의 갈등 상황에서도 보면 둘째가 먼저 시작한 건 거의 없어요. 제..

오은영TV 2021.05.12

에펠탑의 높이는 얼마일까요? - 열팽창 현상 (2020. 10. 8)

에펠탑의 높이는 얼마일까요? ① 432m ② 423m ③ 324m ④ 342m ⑤ 계절마다 다르다. 정답은 5번 계절마다 다르다 입니다. 더 정확하게는 온도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공식적인 에펠탑의 높이는 324미터이지만 1도가 올라갈 때마다 약 4미리 높아집니다. 온도의 증감에 따라 물질의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현상을 열팽창이라고 합니다. 그 변화의 정도를 열팽창계수로 나타내는데 열팽창계수는 물질에 따라 각기 다릅니다. 물체에 열에너지가 가해지면 너비, 높이, 길이가 같은 비율로 팽창하지만 에펠탑의 뼈대처럼 가늘고 길면 길이의 변화량이 가장 눈에 띕니다. 이에 많은 고체의 경우 길이가 늘어나는 정도를 열팽창계수로 정의합니다. 에펠탑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종류 원래의 높이, 온도 변화량을 알면 탑의..

[Science Dream] 아기는 왜 귀여울까? (^.^)

동글동글한 머리, 큰 눈, 오동통한 뺨 아기는 언제나 귀엽고 사랑스럽습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아기를 보면 귀엽다고 느낄까요? 게다가 인간의 뇌는 이 새끼 저 새끼 요런 새끼까지! 동물의 새끼를 봐도 귀엽다고 느낍니다. 아기와 새끼, 이 둘 사이에는 어떤 공통점이라도 있는 걸까요? 아기가 귀여운 이유 그리고 그 안에 숨겨진 귀여움의 과학 지금 시작합니다! --- 아기를 보면 귀엽다고 느끼는 이유는 이 자상한 할아버지의 주장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동물행동학계의 거장 콘라트 로렌츠 교수는 1971년 이런 주장을 합니다. “아기가 지닌 여러 특징들은 어른들로 하여금 애정과 양육하고자 하는 욕구를 불러일으킵니다. 그리고 이런 애정과 양육의 욕구는 종족 번식에 유리하지요, 허허.”..

[양준일_직끔상담소] 3. 남편이 술만 먹었다 하면 이상한 물건들을 집어 와요.(2020. 12. 6)

남편이 술만 먹었다 하면 이상한 물건들을 집어 와요. 이 인간 이거 어떻게 고치죠? 술을 못 먹게 해야 하나요?// 둘 중의 하나를 끊으라고 그래요. 물건 가져오는 것을 끊든지, 술을 끊든지. 못한다, 그러면 술까지 끊어야 한다는 그 약속을 받아내야 해요. 남편도 ”아, 나 이래도 돼?“라는 생각이 자꾸 들면 계속 반복이 되거든요. 그러니까 왜 안 되는지, 그것을 확실히 짚고 그리고 남편한테 그것을 동의를 하게 하고 우뚝 서서야 합니다. 둘이서 같이. 남편 술버릇을 딱 고쳐야지 이거 너무 힘든 거 같아요.

[오디오경전 BBS] 사십이장경 제12장_ 20가지 어려움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에게는 스무 가지 어려움이 있으니 가난하면 보시하기 어렵고 너무 귀하면 도를 배우기 어렵고 목숨을 버리기 어렵다. 부처님 경전을 만나기 어렵고 부처님 세상에 태어나기 어렵고 색심과 욕심을 참기 어렵다. 좋은 것을 보면 그것을 탐내지 않기가 어렵고 모욕을 당했을 때 화를 참기가 어렵다. 힘이 있으면 군림하지 않기가 어렵고 어떤 일이 생겼을 때 마음의 변화 없이 무심하기 어렵다. 널리 배우고 두루 연구하기 어렵고 아만심을 버리기 어렵다. 배움이 부족한 이를 얕보지 않기 어렵고 마음과 행동을 일치하기 어렵다. 시비를 따지지 않기가 어렵고 선지식을 만나기 어려우며 깨달음을 얻어 도를 배우기가 어렵다. 가르침을 따라 사람을 제도하기 어렵고 주변 환경에 따라 동요하지 않기가 어려우며 부처..